- 클래스명과 동일한 명칭의 함수
- 객체를 생성해 주는 역할
데이터 영역 메모리(코드 & 상수 영역 메모리)
클래스 로더 -> 클래스 파일 -> 데이터 영역 로드
- 디폴트 생성자(기본 생성자)
- 클래스에 생성자 메서드가 정의된 것이 없으면 -> 컴파일러가 자동 추가 public 클래스명() {}
- 생성자 만들기
- 생성자 오버로드패키지명 + 클래스명 + 반환값 + 함수명 + 매개변수 정의 + 예외 전가함수의 시그니쳐가 동일 X→ 함수명이 같아도 다른 함수를 정의한 것
- 함수의 시그니쳐가 동일 → 함수의 중복 정의 → 오류
- 함수의 이름 - 함수의 시그니쳐
정보 은닉
- 멤버 변수에 직접 값을 대입하는 것 -> 통제 불가 : 사용을 지양 (멤버 변수의 접근 제어자(private))
- 멤버 변수의 값을 확인할 수 있는 접근 가능한 메서드 추가
- 접근제어자 정리 public : 다른 패키지에서도 접근이 가능 protected : 동일 패키지에서 접근 가능(default) + 외부 패키지에 있는 클래스에서 상속을 받으면 클래스 내부에서 접근 가능(private) default : 접근 제어자를 명시 X : 동일 패키지에서 접근 가능 private :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
- 참고) 다른 패키지에 있는 클래스를 사용하려면 import import 패키지명.클래스명;
- get(), set() 메서드set멤버변수명(…) → setter 함수참고) Record 클래스 - 15버전에 추가된 기능!
- 데이터 클래스
- get멤버변수명() →getter 함수
this 예약어
- 변수
- 인스턴스 메서드의 지역 변수
- 메서드 내부에서 객체의 자원을 접근하기 위한 주소값
- 함수
- 클래스 내부에서 정의된 생성자를 호출
- 객체 생성 X, 생성자에 정의한 코드를 실행
- 생성자 메서드 내부에서 주로 사용
- 생성자 메서드의 첫 줄에서만 사용 가능
static 변수
static : 정적인, 고정된
반대 : 동적인
정적 변수(static)
- 처음 로드 될 때부터 공간 할당
- 객체가 생성되는 것과 관련 X , 처음부터 공간을 할당
- 클래스명으로 직접 접근 가능
- 클래스 변수
정적 메모리
- 데이터 영역 메모리
- 변하지 않는 데이터
- 코드 & 상수 영역
-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 생성, 종료 시 제;거
동적 메모리
- 스택 영역 메모리
- 힙 영역 메모리
static 메서드
- 객체 생성과 상관 없이 사용 가능
- 클래스명으로 직접 호출 가능
- 클래스 메서드
변수의 유효범위
- 지역변수
- 함수가 호출, 시행시에만 스택에서 공간을 할당
- 함수의 연산이 종료(return), 스택에서 제거
- 함수 지역 안에서만 유효한 변수
- 멤버변수(인스턴스 변수)
- 객체 생성 시 힙 메모리에 생성되는 함수
- 객체의 참조가 끊어지면 (더이상 사용하는 참조 변수가 없으면) , 가비지 콜렉터(GC) 제거
- static 변수
- 애플리케이션 로딩시 처음부터 데이터 영역에 할당되는 변수
- 애플리케이션 종료시 제거되는 변수
static 응용 - 싱글톤 패턴
메모리를 절약하는 방법 패턴
java.lang.Math
수학 관련 편의 기능 모음 클래스
java.utill.Arrays
- 배열을 다룰 때 사용할 수 있는 편의 기능 모음 클래스
편의 기능 모음 클래스의 경우는 객체를 여러개 생성할 필요 X
→ 메서드나, 변수, 상수를 static으로 정의한 경우가 많다.
→ 문제점 ?
static : 처음부터 공간 할당, 활성화 → 사용하지 않아도 이미 메모리를 차지
→ 싱글톤 패턴으로 해결
객체를 매번 생성하는 경우 : 데이터 클래스
참고)
디자인 패턴
싱글톤 패턴
- 기능을 담당하는 객체는 여러개 만들 필요 X
- 이 기능이 항상 필요 X, 필요할 때만 객체 생성
- 객체는 필요할 때 하나만 생성, 공유
만드는 방식
- 생성자를 외부에서 직접 호출 X, 접근 제어자 private 변경
- 클래스 내부에서 정적(static) 변수로 객체를 생성
- 클래스 내부에서 생성된 객체를 반환하는 정적(static) 함수
- 최초 호출 시 정적 볁수에 객체를 생성
- 동시성 작업 : 동기화 처리
static {
// 클래스가 로드 되는 시점부터 실행
// 객체 생성하지 않아도 실행
}
static이 있으면 무조건 실행되고 무조건 변수할당된다.
인스턴스 메서드는 객체가 생성되어야 한다!!
접근 제어자
public : 모든 패키지 범위 내에서 접근이 가능(외부 패키지)
protected : 같은(동일)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 가능 + 외부 패키지에서는 상속을 통하면 클래스 내부에서 접근 가능
→ default + 상속(private)
default : 접근 제어자를 정의 X**(접근 제어자 X)** / 같은(동일)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 가능
private :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 - 클래스 내부 메서드 내에서만 가능
public > protected > default > private
적용 범위 : 클래스명, 변수, 메서드
4/16 메모
객체와 함수 정의 class 정의
객체 구성 요소 : 변수와 함수 객체를 만들기 위한 설계도 변수와 함수를... : 클래스
처음 영상 7분 + Ex02때 설명 보기 1번째 여상 30분 쯤부터
2번째 영상도 보기..
GC(Garbage Collector) : 유효하지 않은 메모리인 가비지(Garbage)를 알아서 정리해준다. 대신 Java에서 명시적으로 불필요한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null을 선언해준다.
'Languages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실습(5) (0) | 2024.04.19 |
---|---|
JAVA 실습(5) (0) | 2024.04.18 |
객체지향 프로그래밍1 (0) | 2024.04.17 |
JAVA 실습(4) (0) | 2024.04.16 |
배열 (0) | 2024.04.16 |
- 클래스명과 동일한 명칭의 함수
- 객체를 생성해 주는 역할
데이터 영역 메모리(코드 & 상수 영역 메모리)
클래스 로더 -> 클래스 파일 -> 데이터 영역 로드
- 디폴트 생성자(기본 생성자)
- 클래스에 생성자 메서드가 정의된 것이 없으면 -> 컴파일러가 자동 추가 public 클래스명() {}
- 생성자 만들기
- 생성자 오버로드패키지명 + 클래스명 + 반환값 + 함수명 + 매개변수 정의 + 예외 전가함수의 시그니쳐가 동일 X→ 함수명이 같아도 다른 함수를 정의한 것
- 함수의 시그니쳐가 동일 → 함수의 중복 정의 → 오류
- 함수의 이름 - 함수의 시그니쳐
정보 은닉
- 멤버 변수에 직접 값을 대입하는 것 -> 통제 불가 : 사용을 지양 (멤버 변수의 접근 제어자(private))
- 멤버 변수의 값을 확인할 수 있는 접근 가능한 메서드 추가
- 접근제어자 정리 public : 다른 패키지에서도 접근이 가능 protected : 동일 패키지에서 접근 가능(default) + 외부 패키지에 있는 클래스에서 상속을 받으면 클래스 내부에서 접근 가능(private) default : 접근 제어자를 명시 X : 동일 패키지에서 접근 가능 private :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
- 참고) 다른 패키지에 있는 클래스를 사용하려면 import import 패키지명.클래스명;
- get(), set() 메서드set멤버변수명(…) → setter 함수참고) Record 클래스 - 15버전에 추가된 기능!
- 데이터 클래스
- get멤버변수명() →getter 함수
this 예약어
- 변수
- 인스턴스 메서드의 지역 변수
- 메서드 내부에서 객체의 자원을 접근하기 위한 주소값
- 함수
- 클래스 내부에서 정의된 생성자를 호출
- 객체 생성 X, 생성자에 정의한 코드를 실행
- 생성자 메서드 내부에서 주로 사용
- 생성자 메서드의 첫 줄에서만 사용 가능
static 변수
static : 정적인, 고정된
반대 : 동적인
정적 변수(static)
- 처음 로드 될 때부터 공간 할당
- 객체가 생성되는 것과 관련 X , 처음부터 공간을 할당
- 클래스명으로 직접 접근 가능
- 클래스 변수
정적 메모리
- 데이터 영역 메모리
- 변하지 않는 데이터
- 코드 & 상수 영역
-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 생성, 종료 시 제;거
동적 메모리
- 스택 영역 메모리
- 힙 영역 메모리
static 메서드
- 객체 생성과 상관 없이 사용 가능
- 클래스명으로 직접 호출 가능
- 클래스 메서드
변수의 유효범위
- 지역변수
- 함수가 호출, 시행시에만 스택에서 공간을 할당
- 함수의 연산이 종료(return), 스택에서 제거
- 함수 지역 안에서만 유효한 변수
- 멤버변수(인스턴스 변수)
- 객체 생성 시 힙 메모리에 생성되는 함수
- 객체의 참조가 끊어지면 (더이상 사용하는 참조 변수가 없으면) , 가비지 콜렉터(GC) 제거
- static 변수
- 애플리케이션 로딩시 처음부터 데이터 영역에 할당되는 변수
- 애플리케이션 종료시 제거되는 변수
static 응용 - 싱글톤 패턴
메모리를 절약하는 방법 패턴
java.lang.Math
수학 관련 편의 기능 모음 클래스
java.utill.Arrays
- 배열을 다룰 때 사용할 수 있는 편의 기능 모음 클래스
편의 기능 모음 클래스의 경우는 객체를 여러개 생성할 필요 X
→ 메서드나, 변수, 상수를 static으로 정의한 경우가 많다.
→ 문제점 ?
static : 처음부터 공간 할당, 활성화 → 사용하지 않아도 이미 메모리를 차지
→ 싱글톤 패턴으로 해결
객체를 매번 생성하는 경우 : 데이터 클래스
참고)
디자인 패턴
싱글톤 패턴
- 기능을 담당하는 객체는 여러개 만들 필요 X
- 이 기능이 항상 필요 X, 필요할 때만 객체 생성
- 객체는 필요할 때 하나만 생성, 공유
만드는 방식
- 생성자를 외부에서 직접 호출 X, 접근 제어자 private 변경
- 클래스 내부에서 정적(static) 변수로 객체를 생성
- 클래스 내부에서 생성된 객체를 반환하는 정적(static) 함수
- 최초 호출 시 정적 볁수에 객체를 생성
- 동시성 작업 : 동기화 처리
static {
// 클래스가 로드 되는 시점부터 실행
// 객체 생성하지 않아도 실행
}
static이 있으면 무조건 실행되고 무조건 변수할당된다.
인스턴스 메서드는 객체가 생성되어야 한다!!
접근 제어자
public : 모든 패키지 범위 내에서 접근이 가능(외부 패키지)
protected : 같은(동일)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 가능 + 외부 패키지에서는 상속을 통하면 클래스 내부에서 접근 가능
→ default + 상속(private)
default : 접근 제어자를 정의 X**(접근 제어자 X)** / 같은(동일)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 가능
private :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 - 클래스 내부 메서드 내에서만 가능
public > protected > default > private
적용 범위 : 클래스명, 변수, 메서드
4/16 메모
객체와 함수 정의 class 정의
객체 구성 요소 : 변수와 함수 객체를 만들기 위한 설계도 변수와 함수를... : 클래스
처음 영상 7분 + Ex02때 설명 보기 1번째 여상 30분 쯤부터
2번째 영상도 보기..
GC(Garbage Collector) : 유효하지 않은 메모리인 가비지(Garbage)를 알아서 정리해준다. 대신 Java에서 명시적으로 불필요한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null을 선언해준다.
'Languages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실습(5) (0) | 2024.04.19 |
---|---|
JAVA 실습(5) (0) | 2024.04.18 |
객체지향 프로그래밍1 (0) | 2024.04.17 |
JAVA 실습(4) (0) | 2024.04.16 |
배열 (0) | 2024.04.16 |